부산 블록체인 특구 판 커진다…수도권 기업 대거 이전 등

By 코인니스   Posted: 2022-02-21

부산 블록체인 특구 판 커진다…수도권 기업 대거 이전
연합뉴스에 따르면 수도권에 있는 블록체인 기업들이 블록체인 혁신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는 부산으로 본사를 이전한다. 부산시는 21일 오후 NHN, 테슬라코리아, 미디움 등 15개사와 블록체인 역외기업 투자유치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참여기업은 블록체인 기반 커머스 및 페이먼트 사업 발굴, 디지털 콘텐츠 연구소 구축, 미래형 자동차 연구소 및 블록체인 기술 연구소 설립 등을 추진한다.

인텔, 비트코인 채굴 최적화 2세대 ASIC 칩 ‘보난자 마인’ 스팩 공개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인텔이 최근 앞서 출시를 예고했던 자체 개발 2세대 비트코인 채굴 ASIC 칩 ‘보난자 마인'(Bonanza Mine)의 스팩을 공개했다. 보난자 마인은 고성능 채굴기와 함께 구동될 경우 최대 40 TH/s의 해시파워를 낼 수 있으며, 에너지 효율은 56.97 J/Th를 기록했다. 구체적인 출시일은 공개되지 않았다. 앞서 코인니스는 인텔이 암호화폐 채굴 전용 ASIC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돌체앤가바나, 자체 NFT 커뮤니티 구축
이탈리아 패션 브랜드 돌체앤가바나가 NFT 마켓 UNXD와 협업해 자체 NFT 커뮤니티 ‘DG패밀리’를 구축했다고 코인포스트가 전했다. DG패밀리 박스 NFT를 구매하면 회원이 될 수 있다. 회원은 한정판 NFT 및 실물 상품, 이벤트 참여권 등 혜택이 제공된다. 앞서 작년 돌체엔가바나는 첫 NFT 시리즈 콜레치오네 제네시(Collezione Genesi)를 출시, UNXD에서 경매를 진행한 바 있다.

이번주 비트코인 관전 포인트 TOP5
코인텔레그래프가 이번주 비트코인 가격 동향 관련 주목할 포인트 5가지를 정리했다.

  1.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우려 및 미연준 금리 인상 공포…암울한 미증시 상황
  2. CME 비트코인 선물-BTC 현물 가격 차이(갭), 월요일 단기 회복 가능성
  3. BTC 마켓 유동성 감소 추세
  4. 장기 투자자들의 ‘지속 보유’ 움직임…저점 찾기
  5. 돌아온 ‘극단적 공포’…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4일간 50% 하락

쓰리애로우캐피탈, FTX 거래소 주소로 250만 USDC 입금
이더리움 블록체인 익스플로러 이더스캔에 따르면, 21일 암호화폐 전문 투자 펀드 쓰리애로우캐피탈(3ac) 소유 주소 0x4862733B5FdDFd35f35ea8CCf08F5045e57388B3에서 FTX 거래소 지갑으로 약 250만 USDC가 이체됐다.

러 재무부, 정부에 암호화폐 규제법 초안 제출…”거래소 등록 의무화, 암호화폐 결제 금지”
포브스 러시아에 따르면, 러시아 재무부가 최근 정부에 암호화폐 규제법 초안을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러시아 재무부는 “러시아 내각이 승인한 디지털 화폐 개념을 기반으로 암호화폐 규제법 초안을 정부에 제출했다. 초안은 18일(현지시간) 정부에 전달됐다. 해당 법안은 암호화폐 관련 기업의 지배구조, 보고 의무화, 자본 규모, 리스크 관리, 감사 및 정보 관리에 대한 규정을 포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재무부에 따르면, 이번 초안은 △국내외 암호화폐 거래소의 규제당국 등록 의무화(라이선스 발급) △신원인증 완료된 사용자에 한해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 제공 △거래소는 은행 계좌를 통해서만 입출금 가능 △은행·거래소 의심 거래 보고 의무화 △테스트 통과 투자자 최대 연간 60만 루블(약 933만원), 테스트 미통과 투자자 최대 연간 5만(약 78만원) 루블 암호화폐 투자 허용 △암호화폐 결제 금지 등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앞서 지난주 코인니스는 안톤 실루아노프 러시아 재무장관이 “암호화폐 규제법이 이르면 연내 도입될 수 있다”며 “정부와 중앙은행의 규제 관련 입장차를 좁히며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한 바 있다.

사기 전과 전 원더랜드 CFO, 유니스왑 V3서 ‘SIFU’ 토큰 출시
외신에 따르면 최근 사기 전과가 드러나 원더랜드(TIME) 최고재무책임자(CFO)에서 해임된 시푸(@0xsifu)가 본인의 이름을 딴 SIFU 토큰을 유니스왑 V3에 출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SIFU/ETH 풀이 오픈돼 있으며, 교환 가치는 1 ETH 당 26.7521 SIFU다. 이더스캔 데이터에 따르면 유니스왑 외에 5개 주소가 SIFU를 보유 중이다. SIFU의 구체적 용도에 대해선 알려진 바 없다. 앞서 코인니스는 원더랜드 커뮤니티가 공식 투표를 통해 찬성률 87.56%로 시푸의 해임을 결정했다고 전한 바 있다.

하나금융 클럽원 센터장 “제2 네이버·카카오, 암호화폐 분야서 나올 것”
전병국 하나금융 클럽원 센터장이 최근 한국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제2의 네이버와 카카오가 암호화폐 금융(크립토파이낸스) 분야에서 반드시 나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그는 “코인에 투자하라는 얘기는 아니다. 거래소와 코인은 크립토파이낸스에서 가장 작은 시장이다. 지난해 캐나다와 미국에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가 상장됐는데, 암호화폐를 활용한 금융상품이 출시되면서 관련 상품을 거래하는 자산운용시장도 확대될 거다. 굉장히 빠르고 급진적으로 (변화가)올 건데, 크립토파이낸스를 선점하느냐에 따라 극명하게 성패가 갈릴 것이고 완전히 다른 세계가 올 것이다. 세쿼이아가 투자한 NFT의 가치평가 모델을 만든 NFT뱅크가 대표적”이라고 설명했다. 하나금융 그룹의 클럽원은 하나은행이 지난해 6월 고액 자산가를 대상으로 출시한 프리미엄 자산관리 브랜드다.

국내 대기업 34%, 블록체인·NFT에 집중 투자 의지
연합뉴스에 따르면 자산 규모가 5조원 이상인 국내 대기업 3곳 중 1곳은 디지털 전환을 위해 블록체인과 NFT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글로벌 회계·컨설팅 법인 EY한영의 EY컨설팅이 국내 기업 CEO와 임원 319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진행한 ‘2022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66%(중복 응답)가 향후 2년간 디지털 전환을 위해 집중 투자할 분야로 인공지능(AI)을 꼽았고, 다음으로 34%가 블록체인·NFT를 택했다. EY컨설팅은 “대기업 대부분이 디지털 전환의 핵심인 클라우드 전환과 보안 구축을 이미 마쳤기 때문에 투자 관심을 메타버스, NFT 등 신기술로 옮겼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NYT “이혼소송서 주요 쟁점으로 암호화폐 재산분할 부상”
최근 이혼소송에서 암호화폐 재산분할이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 재산분할을 피하기 위해 자산 은닉 수단으로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를 추적하기 위한 플랫폼도 증가 추세다. 암호화폐 추적 플랫폼 사이퍼블래이드의 분석가 폴 시베니크는 “지난 수년간 100여건의 이혼 관련 암호화폐를 추적했다”고 전했다.

코인베이스, BTC 매도 관련 치명적 버그 제보자에 25만 달러 지급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지난 19일(현지시간) 플랫폼 내 BTC-USD 거래페어 관련 치명적 버그를 제보한 화이트해커에게 25만 달러 상당의 바운티(보상금)를 지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리오브알파’라는 ID를 사용하는 트위터 사용자는 “코인베이스 BTC-USD 거래페어 고급 거래 기능에 버그가 존재한다. 사용자는 해당 거래페어에서 BTC를 보유하지 않더라도 알트코인을 연동해 동일 물량의 매도 주문이 가능하며, 실제로 주문 체결도 이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방금 전 나는 해당 버그를 통해 0.0243 ETH로 0.0243 BTC를 매도했다. 코인베이스 개발팀은 해당 제보를 접수한지 3분 만에 조치를 취했으며, 30분 이내로 모든 마켓은 ‘취소 주문만 가능 모드’로 전환됐다. 관련 버그와 관련해 코인베이스와 빠른 연락이 가능하도록 지원해준 커뮤니티와 빠른 대처를 보여준 코인베이스에게 감사하다”고 설명했다.

업비트 이더리움 2.0 스테이킹, 1개월 만에 475억원 몰렸다
뉴스1에 따르면 업비트가 지난 1월 정식 출시한 이더리움 2.0 스테이킹에 475억원(1만4720 ETH)이 몰렸다. 업비트는 이더리움 2.0 업그레이드가 완료될 때까지 검증로 얻게 되는 수익을 일 단위로 투자자에게 배분하는데, 업비트가 예상하는 연 보상률은 4.9%(2월18일 기준)다. 10 ETH(약 3232만원)를 예치한 이용자는 연평균 0.49 ETH(약 158만3680만원)를 보상으로 받게 되는 셈이다. 업비트 관계자는 “이용자가 안정적인 보상을 얻을 수 있도록 편의를 높이고 스테이킹 가능한 암호화폐도 확대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라인프렌즈, ‘IPX’로 사명 변경…메타버스·NFT 공략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네이버의 캐릭터 사업 부문 계열사 라인프렌즈가 법인 설립 7년만에 ‘IPX’로 사명을 변경하고, 메타버스와 대체불가능토큰(NFT) 등 신사업 확장에 나선다. 기존의 라인프렌즈 명칭은 오리지널 캐릭터 IP와 오프라인 스토어 등의 브랜드 명으로 계속 사용하고, 해외 법인의 사명도 그대로 유지한다. 라인프렌즈는 최근 메타버스 및 NFT 서비스까지 확장 가능한 새로운 IP 플랫폼인 ‘프렌즈(FRENZ)’를 출시한 바 있다.

[코인니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