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가격은 7일 오후 12시를 기준으로 바이낸스에서 전날 대비 0.7% 내린 5만7586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 조정 분위기와 달리 국내 암호화폐 시장은 비트코인이 업비트에서 전날보다 1.8% 정도 오른 7940만원에 거래되는 등 차이가 있다. 국내 암호화폐 가격이 더욱 비싼 ‘김치 프리미엄’은 20%를 넘기며 더욱 심화하고 있어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입출금을 다수 제한하고 있는데 이로 인한 가격 왜곡 현상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코인마켓캡, 한국 암호화폐 가격을 집계에서 제외
암호화폐 가격을 비교하고 분석하는 사이트인 코인마켓캡은 한국의 가격 정보를 집계에서 7일 제외하면서 ‘김치 프리미엄’이 발생한 한국 시장을 외면하는 분위기다. 현재 코인마켓캡에선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의 암호화폐 가격 정보를 찾아볼 수 없다. 코인마켓캡은 비트코인의 국내 가격이 안정화되기 전까지 한국의 가격 정보를 자사 서비스에서 제공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몰리 제인 코인마켓캡 컨텐츠매니저는 코인텔레그래프와 인터뷰에서 “한국의 암호화폐 가격은 다른 외국 거래소와 비교했을때 최소 6% 이상 높다”며 “한국의 암호화폐 가격이 안정화되면 데이터를 다시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코인마켓캡은 한국과 외국 간 비트코인 거래가 어렵고 차익거래가 발생하기 힘들기 때문에 가격차가 더욱 크고 향후 가격 왜곡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경을 넘어 한국에 비트코인을 판매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격 비교 데이터를 제공하는 의미가 없다는 설명이다. 코인마켓캡이 한국의 암호화폐 가격 정보를 제외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코인마켓캡은 과거 2018년 김치프리미엄이 50%를 기록한 당시에도 한국의 가격을 집계에서 제외한 바 있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 입출금 다수 막혀있어 주의 필요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김치 프리미엄이 치솟는 현 상황에서 지나친 재정거래를 막기 위해 코인의 입출금을 다수 막아두고 있다. 그러나 국내 거래소에서 특정 코인의 입출금을 막아두면 해당 코인의 가격 왜곡 현상이 더욱 심화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전날 업비트 거래소에선 비트코인 골드(BTG)가 56% 상승했고 비트코인캐시에이비씨(BCHA)도 27% 가량 올랐다. 입출금 제한에 따른 ‘가두리 펌핑’으로 볼 수 있다는 지적이다. 업비트에서는 지갑 점검으로 인해 일부 암호화폐 입출금을 중단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BTG 등은 입출금이 아직 막혀있는 상태로 7일 12시 기준 전날보다 42% 가량 상승한 14만14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업비트는 BTG와 BCHA 외에도 고체인(GO), 니어프로토콜(NEAR), 스텔라루멘(XLM), 아이오에스티(IOST), 아이오타(IOTA), 카바(KAVA), 파일코인(FIL) 등 9종류의 코인의 입출금을 중단한 상태다.
입출금 중단은 국내 다른 가상자산 거래소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빗썸도 네트워크 이슈 등의 이유로 여러 코인의 입출금을 현재 제한하고 있다. 빗썸은 현재 대시(DASH), 제트캐시(ZEC), 이오스닥(EOSDAC), 스트라티스(STRAX), 애터니티(AE), 코르텍스(CTXC), 쎄타토큰(THETA), 밋원(MEETONE), 호루스페이(HORUS), 애드(ADD), 원루트 네트워크(RNT), 챌린지닥(CHL), 이오스블랙(BLACK), 아타디움(ATD), 베잔트(BZNT), 위쇼토큰(WET), 비엑스에이(BXA), 윙크(WIN), 젠서(XSR), 코박토큰(CBK), 오니엑스(ONX), 뉴트리노토큰(NSBT),스텔라루멘(XLM), 피벡스(PIVX), 뉴스(NEWS) 등 코인 25종의 입출금을 정지한 상태다.
고팍스의 경우 스텔라루멘(XLM), 제트캐시(ZEC), 이니그마(ENG), 모비우스(MOB), 스팀(STEEEM), 스팀달러(SBD), 이오스DAC(EOSDAC), 모스코인(MOC), 에브리피디아(IQ), 호루스페이(HORUS), 이오스블랙(BLACK), 챌린지닥(CHL), 애더럴코인(ADD), 이오엑스(EOX), 비트코인SV(BSV), 크립토닷컴(MCO), 휴먼스케이프(HUMOLD), 하이브(HIVE), 하이브달러(HBD), 체인링크 BEAR(LINKBEAR), 에이다베어ADABEAR), 비트코인캐시ABC(BCHA), 시크릿네트워크(SCRT) 등 코인 23종의 입출금을 현재 일시 정지한 상태다. 네트워크 점검 등이 이유다.
특히 일부 코인의 경우 홈페이지에 별다른 공지 없이 입출금을 정지하고 있는 경우도 존재한다. 사용자가 이를 모른 채 코인을 옮기려고 하는 경우에는 자칫하다 코인을 출금 후 분실할 수도 있어 주의가 특히 요구된다. 고팍스에 리스팅된 ADABEAR의 경우 코인의 입금 절차가 먼저 중단된 후 며칠 뒤에 입금을 중단한다고 홈페이지에 공지를 올린 바 있다. ADABEAR는 현재 한달이 되가도록 입금 절차를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
[강민승 기자]